본문 바로가기

프리미어공부

프리미어 영상출력(랜더링) 정리

1.저용량 렌더링

2.유튜브권장 렌더링

3.무압축 렌더링

4.스틸이미지 렌더링

5.오디오만 렌더링

6.워터마크삽입하여 렌더링

 

 

 

H.264는 현재 페북, 유튜브등 가장 많이 사용하고있는 코덱

유튜브용일시

 

출력할 사이즈에 맡게 조정하는것이 좋을듯

 


CBR(Constant Bit Rate) – 고정 비트레이트 전송

CBR은 영상의 변화 또는 내용에 관계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한 bit rate를 사용하여 영상을 압축하는 방식입니다.

비트 전송률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저장 HDD의 용량 계산이 쉽고, 시스템을 관리/유지하기 쉬운 장점이 있지만,

영상의 변화가 적어 데이터가 많이 필요 없는 부분에서는 데이터의 낭비가 나게되고,

영상의 변화가 너무 많아 설정한 bit rate 이상의 데이터가 필요 할 경우에는 화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단조롭거나 화려한연출등에서는 이미지 자체가 손상되거나 깨질수있다. 

 

 

VBR(Variable Bit Rate) – 가변 비트레이트 전송

VBR은 영상의 변화가 많은 때는 높은 비트레이트를, 영상의 변화가 작을 때는 낮은 비트레이트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CCTV에서 최대 bit rate를 4096kb/s 설정해놓고 VBR 방식으로 인코딩 할 경우 최대 4096kb/s 범위 안에서 자동으로 비트레이트를 잡아줍니다.

CBR 보다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 있으나, 영상 변화에 따라 대역폭의 변화가 커 순간 네트워크에 과부하를 줄 수도 있습니다.

 

움직임에 따라 전송이 된다.효율적이다. 랜더링하고나서야 크기를 알수가 있다. 순간적인 변화폭 감당이 안될경우 CBR보다 더 손상되거나 깨질수있을거 같다.

 

1패스 , 2패스 = 2패스의 경우 한번더 검토를 한다는 개념 , 시간이 오래걸린다.

 

 

 


유튜브 권장 동영상 비트 전송률 

여기서 sdr , hdr 차이점을 알아보니 

이런 차이가 있다.

HDR이 좀더 자연스럽고 넷플렉스나 블루레이 디스크등에 쓰인다고 한다 . 비트전송률도 좀더 있네보니~

 

자주사용하는 설정법을 저장할수 있다.

 

 


프로파일 높음으로, 레벨은 4.2정도 하면 좋다.


 

손실없이 영상 저장  - 2차편집등을 할때 쓴다.

형식=퀵타임 , 압축되지 않은 yuv 8비트 4:2:2 , 소스일치탭 클릭 !

 


이미지 렌더링

시퀀스로 내보내기 체크시 사용된 모든 이미지를 보낸다. 체크해지시 원하는 사진만 가능 , 굳이 안쓰는 기능일듯

프로그램 모니터상의 스크린샷을 바로 쓰는게 좋을듯하다. 여러장을 할경우가 그렇게 많이 없을듯

 

워터마크 렌더링 , 현재 2018,2019 버전에서 크기 조정하는게 안됨

 

 

효과탭에서 선택후 오프셋 위치 등 조정가능 , 일단 보류, 크기조정 쓸일잇을경우 이미지 사이즈 미리 수정

 

 


lumetri look 으로 효과들을 바로 줄수가있다.

'프리미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미어공부4회차  (0) 2020.06.05
프리미어공부3회차  (0) 2020.05.28
특정부분 확대  (0) 2020.05.25
프리미어공부2회차  (0) 2020.05.23
프리미어공부  (0) 2020.05.20